러시아의 졸업식 ‘마지막 종’에 자신의 영웅을 초대한 소녀

러시아의 졸업식 ‘마지막 종’

 

마지막 종(Last bell, Последний звонок)’은 러시아와 과거 소련에 속했던 국가의 학교들이 치르는 졸업식을 의미한다.

 

단어의 의미대로라면 모든 학업이 끝난 시점이겠지만 보통 마지막 시험 전인 5월 25일에 행사를 치르는데, 졸업생들은 전통 교복을 입거나 여학생들은 메이드복을 연상시키는 복장을 입기 때문에 아름다운 슬라브 소녀들의 모습이 전 세계적으로 화제가 되기도 한다.

 

'마지막 종(Last bell, Последний звонок)'은 러시아와 과거 소련에 속했던 국가의 학교들이 치르는 졸업식을 의미한다. 1
▲ 졸업식 복장을 입은 러시아 여학생들


이제 학교를 떠나기 때문에 성인식의 의미도 함께 담고 있는 것이 ‘마지막 종’ 행사. 그런데 2021년 5월 25일, 베슬란 8번 공립학교에서 특별한 만남이 진행되었다.

 

졸업생 중의 한 명인 알료나 츠카예바(Алена Цкаева)라는 여학생이 엘부르스 고기차예바(Эльбруса Гогичаева)라는 한 중년 남성을 초대하였는데, 그는 알료나의 아버지나 친척이 아니었던 것.

 

바로 학교의 이름에서 눈치챌 수 있듯이 알료나는 2004년 발생했던 ‘베슬란 학교 인질극(Beslan school siege)’의 생존자였고, 엘부르스는 당시 생후 6개월의 아기였던 알료나를 구해 나온 특수부대원이었다.

 

– 베슬란 학교 인질 사건: 2004년 9월 1일부터 9월 3일까지 이츠케리아 체첸의 테러리스트들이 러시아 북오세티야 공화국 베슬란 1번 공립학교의 학생과 민간인 1200여 명을 인질로 잡고 폭탄을 설치한 사건이다.

 

진압을 위한 특수부대에 더해 지역 민병대들까지 몰려온 상황에서 혼란이 발생하며 대규모 전투가 발생했고, 이 과정에서 334명의 인질(어린이 186명)이 사망했다. 사망자의 절반 이상이 어린이여서 ‘베슬란 대학살’이라고도 불린다.


'마지막 종(Last bell, Последний звонок)'은 러시아와 과거 소련에 속했던 국가의 학교들이 치르는 졸업식을 의미한다. 3
▲ 당시의 건물은 현재도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엄마와의 이별

 

2004년 9월 1일, 파티마 츠카예바라는 여성은 이날 입학하는 딸 크리스티나(6)를 축하하기 위해 아들 마하르(3)와 함께 갓난아기였던 알료나를 품에 안고 학교에 갔다가 인질극에 휘말렸다.

 

경찰특공대와 테러범들이 대치하던 중, 체첸과 인접한 잉구세티야의 전 대통령이었던 루슬란 아우세프(Ruslan Aushev)가 협상에 나섰고, 아기를 데리고 온 11명의 엄마들을 밖으로 내보내는데 테러범들과 합의했다.

 

'마지막 종(Last bell, Последний звонок)'은 러시아와 과거 소련에 속했던 국가의 학교들이 치르는 졸업식을 의미한다. 5
▲ 협상하는 루슬란 아우세프 | 아기를 안고 나오는 엄마들


파티마는 크리스티나에게 동생 알료나를 안겨 밖으로 내보내려고 했지만 테러범들은 ‘엄마가 아니면 나갈 수 없다’고 막아섰고, 어린 아들과 딸을 두고 나갈 수 없었던 파티마는 결국 알료나만 협상단에 넘기고 학교에 남았다.

 

이때 넘겨받은 조그만 아기를 안고 걸어 나오는 특수부대원 엘부르스의 모습은 베슬란 인질 사건의 잔혹함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사진이 되었다.

 

'마지막 종(Last bell, Последний звонок)'은 러시아와 과거 소련에 속했던 국가의 학교들이 치르는 졸업식을 의미한다. 7
▲ 알료나를 안고 나오는 엘부르스


이틀 후인 9월 3일 전투의 혼란 속에 파티마는 깨진 창문으로 다른 아이들과 아들 마하르를 밀어내며 “달려!”라고 외쳤다. 마하르는 엄마의 말에 눈을 질끈 감고 달린 덕에 살아남았지만 파티마와 딸 크리스티나는 사태가 끝나고 무너진 체육관의 잔해 속에서 숨진 채로 발견되었다.

 

'마지막 종(Last bell, Последний звонок)'은 러시아와 과거 소련에 속했던 국가의 학교들이 치르는 졸업식을 의미한다. 9
▲ 알료나를 데리고 나오는 다른 모습


당시 엘부르스는 엄마를 잃은 아기의 가족이 나타나지 않자 입양하려는 결심을 했다고 한다. 아기가 자신이 안고 있을 땐 조용히 있다가 내려놓기만 하면 자지러질 듯이 울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알료나의 외할머니가 생존자 명단에 ‘츠카예바’라는 성이 아닌 ‘푸쉬키나’라는 애칭으로 적혀있는 것이 자신의 손녀라는 것을 극적으로 알아차리면서 가족의 품으로 돌아갔다.

 

영웅과의 재회

 

북오세티야에서 베슬란 인질구출작전에 참여한 남자들은 남들이 영웅이라고 생각하는 것과 달리 관련된 이야기를 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으며, 언론과의 인터뷰에 나서는 것도 몹시 꺼린다는 공통적인 특징이 있다.

 

결과적으로 너무 많은 사람들이 죽었기에 스스로를 아내, 어머니, 자녀를 구하지 못한 죄인이라는 죄책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마지막 종(Last bell, Последний звонок)'은 러시아와 과거 소련에 속했던 국가의 학교들이 치르는 졸업식을 의미한다. 11
▲ 희생자들의 이름이 새겨진 비석


당시의 악몽을 되새기기 싫은 것은 엘부르스 역시 마찬가지여서 언론의 취재요청을 거부하며 살아왔다. 그러다 인질 사태가 끝난 지 10년 만인 2014년, 한 언론사의 끈질긴 주선으로 알료나의 외갓집에서 만남이 이루어졌다.

 

'마지막 종(Last bell, Последний звонок)'은 러시아와 과거 소련에 속했던 국가의 학교들이 치르는 졸업식을 의미한다. 13
▲ 10년만에 만난 두사람


건강한 어린이로 자란 알료나를 안아주며 엘부르스는 다정하게 말했다.

 

“알료나, 모든 일이 다 잘될 거란다.”

 

그리고 얼마 전인 2021년 5월 25일, 인생에 한 번뿐인 ‘마지막 종’ 행사를 맞아 이번엔 알료나가 직접 엘부르스를 초대한 것이다.

 

“제 인생에는 항상 엘부르스 ‘삼촌’이 존재해요. 그는 제가 잘 자라는지 늘 관심이 있는 사람이니 누구보다도 졸업식에 와야 될 사람이죠. 엘부르스 삼촌은 곧바로 온다고 말해줬어요. 16년 전 그 일이 일어난 순간 우리는 영원한 가족이 되었다는 걸 자라면서 깨달았어요.”


'마지막 종(Last bell, Последний звонок)'은 러시아와 과거 소련에 속했던 국가의 학교들이 치르는 졸업식을 의미한다. 15

▲ 졸업식에서 만난 알료나와 엘부르스


학교에 도착한 엘부르스를 만난 알료나는 환하게 웃으며 그를 포옹했다. 엘부르스는 여전히 말을 아끼며 언론의 인터뷰는 정중히 사양했지만 알료나의 귀에는 다시 한번 속삭였다.

 

“알료나, 앞으로도 모든 일이 다 잘될 거란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