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0년대, 구한말(대한제국)의 모습 ①
근대 일본의 사진기술 발전에 큰 영향을 끼친 사진작가 오가와 가즈마사(小川一真, 1860~1929)는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까지 수많은 일본 국내외 명소와 풍속, 문화재를 카메라에 담았다.
오가와 가즈마사의 사진점은 1910년에 조인된 한일병합조약을 기념하는 사진첩 ‘大日本帝国朝鮮写真帖, 日韓併合紀念(小川一真出版部 1910)’도 출판했다.
1910년의 출판물이지만 사진첩이 제작되는 기간을 고려하면 구한말 시대인 1900년대가 담긴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아래는 사진첩에서 발췌한 대한제국 시기의 모습이다.
▲ 일본제국과 대한제국 왕실이 기념사진을 찍은 모습.
뒷줄 왼쪽부터
흥친왕 이재면(興親王 李載冕, 1845~1912),
완순군 이재완(完順君 李載完, 1855~1922),
의양군 이재각(義陽君 李載覺, 1874~1935),
영선군 이준용(永宣君 李埈鎔, 1870~1917).
앞줄 왼쪽부터
아리스가와노미야 다케히토 친왕(有栖川宮威仁親王, 1862~1913), 순종(純宗, 1874~1926), 사진 찍을 당시는 황태자였던 다이쇼 천황(大正天皇, 1879~1926), 영친왕 이은(英親王 李垠, 1897~1970).
▲ 경성 남대문(숭례문). 당시 이미 가로등을 세우고 출입을 막아 유적화한 모습이다.
▲ 경성 종로거리. 노면전차와 자전거를 끌고 가는 소년, 물동이를 머리에 진 여성, 노점상 등 일상적인 모습이 눈에 띈다.
▲ 언덕에서 내려다본 경성의 전경.
▲ 파고다공원(탑골공원).
▲ 현재 유형문화재 제18호로 지정된 청계천 수표교(水標橋). 원래 수표동에 있었으나 장충단공원으로 이전되었다.
▲ 창덕궁 인정전(昌德宮仁政殿).
▲ 창덕궁 주합루(昌德宮 宙合樓). 창덕궁 후원에 있는 2층으로 된 누각.
▲ 경복궁(景福宮) 내에 있는 향원정(香遠亭).
▲ 경복궁 광화문(光化門).
▲ 멀리서 본 경복궁(景福宮).
▲ 한국 최대의 목조건축물 중 하나인 경복궁 근정전(勤政殿).
▲ 연잎으로 가득한 경복궁 경회루(慶會樓).
▲ 1907년, 대한문(大漢門) 앞 순정효황후 윤씨(純貞孝皇后 尹氏, 1894~1966)의 혼례행렬과 구경 나온 인파들.
▲ 경운궁(慶運宮) 중화전(中和殿). 경운궁은 1907년 순종이 왕위를 이양받으면서 덕수궁(德壽宮)으로 개칭하였다.
▲ 남산 국사당(國師堂) 내부. 일제가 조선신궁(朝鮮神宮)을 남산 정상에 세우면서 1925년 인왕산으로 이전하였다.
▲ 세검정(洗劍亭). 서울시 기념물 제4호로 지붕은 1941년에 화재로 소실되었으나 1977년 복원하였다.
▲ 경운궁(덕수궁) 돈덕전(惇德殿).
▲ 남산공원. 1908년 일제에 의해 공원으로 조성되었으며, 1910년 일반에 공개되었다.
▲ 통감부(統監府) 청사. 을사조약 후 일제가 대한제국의 외교와 정치, 군사업무를 관장하던 곳으로 한일합방 이후 해산되었다.
▲ 남산에 있던 통감관저(統監官邸). 현재는 터였음을 알리는 표지석만 남아있다. 안중근 의사에게 피살된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1841~1909)가 1906년 3월 2일부터 1909년 6월 14일까지 제1대 한국통감을 역임했다. (관련 글: 남산인권숲의 옛모습)
▲ 고등법원 및 경성지방법원.
▲ 포졸과 포도대장 등 조선시대의 포도청 관리들(위)과 대한제국 시대의 신식 경찰들(아래).
▲ 1915년 이전의 경성우편국(京城郵便局). 1898년 일본우편전신국으로 지어졌으나 한일합방 이후 경성우편국이 이곳을 사용하였고, 우정서비스가 점점 확대됨에 따라 1915년 새로운 청사를 지어 이전하였다.(관련 글: 1915년 경성우편국 신축)
▲ 우편배달부. 우체통과 소포를 배달하는 인력거가 함께 찍혀있다.
▲ 한성사범학교(漢城師範學校). 교원양성을 위해 1895년 설립된 곳으로 15세 이상의 보통학교 졸업생에게 입학자격이 주어졌다.
▲ 한성사범학교 수업 모습. 1911년 8월, 일제가 공포한 제1차 조선교육령에 따라 경성고등보통학교의 사범과 혹은 교원 속성과로 개편되면서 폐지되었다.
어째 옛날이… 더 예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