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항의 불청객, 민물삿갓조개의 긍정적인 면

어항을 꾸미려고 생물을 넣고 수초를 심다 보면 어디서 딸려왔는지 미생물이 생겨나는 것은 피할 수 없는 운명이다.

 

그중에서도 어느 순간 마치 굴처럼 어항 벽면이나 여과기 등에 다닥다닥 달라붙어 있는 조개 같은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페리시아 캘리포니카(Ferrissia californica)로 흔히 민물삿갓조개(Freshwater Limpet) 혹은 담수삿갓조개라고 불린다.

 

미관상 그다지 좋지 않아 ‘어항의 해충’으로 불리지만 수질이 잡혔다는 신호이기도 하고 생물이나 수초에도 피해가 가지 않는다.

 

그중에서도 어느 순간 마치 굴처럼 어항 벽면이나 여과기 등에 다닥다닥 달라붙어 있는 조개 같은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페리시아 캘리포니카(Ferrissia californica)로 흔히 민물삿갓조개(Freshwater Limpet) 혹은 담수삿갓조개라고 불린다. 1
▲ 어항벽면에 붙어있는 모습

 

또 구피들은 벽에 붙어있는 삿갓조개들을 쪼아서 먹어버리기 때문에 구피처럼 민물삿갓조개(성체 크기 2mm)를 삼킬만한 입 크기의 어종이 있는 어항에서는 자연스럽게 박멸이 가능하다. 하지만 수초항이나 새우항에서는 천적이 없기에 몇 마리를 보고 나면 이후 폭발적인 번식이 일어난다.

 

그중에서도 어느 순간 마치 굴처럼 어항 벽면이나 여과기 등에 다닥다닥 달라붙어 있는 조개 같은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페리시아 캘리포니카(Ferrissia californica)로 흔히 민물삿갓조개(Freshwater Limpet) 혹은 담수삿갓조개라고 불린다. 3
▲ 수초에 붙어있는 모습

 

나 역시 어항 앞쪽에 보이는 것들만 자석을 이용해 눌러서 제거하다가 어느 순간 이들의 순기능을 확인하였다. 바로 벽면의 이끼를 제거하는 능력이 꽤나 탁월하다는 것.

 

특히 누룽지처럼 꽉 눌어붙어 어항 뒤쪽 벽을 덮고 있던 이끼들이 어느 순간 깨끗하게 벗겨지고 있는 걸 볼 수 있었다.  어항의 청소부라고 불리는 그 어떤 생물들도 칼날 스크래퍼로 긁어내야 할 수준의 이끼들을 제거하는 것은 못 본 듯.

 

그중에서도 어느 순간 마치 굴처럼 어항 벽면이나 여과기 등에 다닥다닥 달라붙어 있는 조개 같은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페리시아 캘리포니카(Ferrissia californica)로 흔히 민물삿갓조개(Freshwater Limpet) 혹은 담수삿갓조개라고 불린다. 5
▲ 페인트처럼 벗겨지는 이끼

 

자세히 보니 남아있는 이끼에 이 삿갓조개 무리들이 몰려있었고, 조금 남은 이끼들도 점점 자취를 감추고 있었다. 같은 위치에 있는 구피항은 이끼가 벽에 가득한데 새우항은 이끼가 별로 없고 물도 깨끗한 게 다 이 민물삿갓조개 덕분인 것 같아서 이끼가 가득한 돌을 하나 넣어봤더니 역시나 몇 시간 후 돌에 가득 몰려와 있었다.

 

그중에서도 어느 순간 마치 굴처럼 어항 벽면이나 여과기 등에 다닥다닥 달라붙어 있는 조개 같은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페리시아 캘리포니카(Ferrissia californica)로 흔히 민물삿갓조개(Freshwater Limpet) 혹은 담수삿갓조개라고 불린다. 7
▲ 거의 사라진 어항 뒤쪽의 이끼

 

이런 순기능을 확인하고 나니 굳이 없애야 할 필요성을 못 느껴서 요즘은 놔두고 있다. 게다가 이끼가 점점 줄어드니 민물삿갓조개의 개체수도 그에 맞춰서 줄어드는 느낌이 든다.

 

보기에 불편하지 않다면 굳이 해로운 약을 쓸 필요 없이 이끼 관리용으로 놔두는 것도 괜찮은 생물.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