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아시아의 고도(古都)’, 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의 1972년 풍경

1970년대의 우즈베키스탄은 소련의 일부인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Uzbek Soviet Socialist Republic)’으로 존재하고 있었다.

 

이 시기 국교였던 이슬람교는 소련당국에 의해 큰 탄압을 받았으며, 대부분의 이슬람 모스크는 폐쇄되는 길을 걸었다. 하지만 소련 서부의 많은 산업체들이 냉전으로 대치하던 서구로부터 안전한 지역으로 여겨졌던 우즈베키스탄으로 이전하면서 공업부문과 문맹퇴치에서 큰 발전을 이루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었다.

 

1972년, 사진작가 프랭크 바움가르트(Frank Baumgart)는 티무르 제국 시대의 수도였던 사마르칸트(Samarkand)를 방문해 소련 치하의 모습을 사진에 담았다.

 

1970년대의 우즈베키스탄은 소련의 일부인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Uzbek Soviet Socialist Republic)'으로 존재하고 있었다. 1
▲ 사마르칸트에 있는 구르 아미르(Gur-e Amir) 영묘의 돔.

 

티무르 제국을 건국한 황제 티무르(Timur, 1336~1405)와 그의 후손들이 잠들어 있으며, 구르 아미르(Gur-e Amir)는 페르시아어로 ‘왕의 무덤‘을 뜻한다.

1970년대의 우즈베키스탄은 소련의 일부인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Uzbek Soviet Socialist Republic)'으로 존재하고 있었다. 3
▲ 사마르칸트 레기스탄(Registan)의 셰르도르 마드라사(Sherdor Madrasa)의 화려한 기둥. ‘마드라사’란 이슬람의 율법을 가르치는 교육기관을 말한다.

1970년대의 우즈베키스탄은 소련의 일부인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Uzbek Soviet Socialist Republic)'으로 존재하고 있었다. 5
▲ 셰르도르 마드라사(Sherdor Madrasa)의 정문. 구소련 시대에 마드라사는 반종교 박물관으로 운영되었다.

1970년대의 우즈베키스탄은 소련의 일부인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Uzbek Soviet Socialist Republic)'으로 존재하고 있었다. 7
▲ 셰르도르 마드라사(Sherdor Madrasa)의 현재 모습.

1970년대의 우즈베키스탄은 소련의 일부인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Uzbek Soviet Socialist Republic)'으로 존재하고 있었다. 9
▲ 사마르칸트에 있는 하즈랏 히즈르 모스크(Hazrat Khizr Mosque)의 복원된 목조 천장.

 

모스크의 이름은 이슬람교가 들어오기 이전부터 중동지역에 널리 퍼져있던 ‘여행자들의 수호성인’ 히즈르(Khidir, Khizir, Khizr, Khyzyr)에서 따온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1970년대의 우즈베키스탄은 소련의 일부인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Uzbek Soviet Socialist Republic)'으로 존재하고 있었다. 11
▲ 하즈랏 히즈르 모스크(Hazrat Khizr Mosque)

 

8세기에 지어진 이 모스크는 사마르칸트에서 가장 오래된 이슬람 모스크 중 하나로, 1220년 징기스칸(Genghis Khan, 1162~1227)에 의해 완전히 파괴되었다가 1884년에 복원을 시작해 1919년에 완공되었다.

1970년대의 우즈베키스탄은 소련의 일부인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Uzbek Soviet Socialist Republic)'으로 존재하고 있었다. 13
▲ 이슬람 카리모프 영묘.

 

모스크 근처에는 공동묘지가 들어서 있는데 2016년 9월 3일, 우즈베키스탄 초대 대통령 이슬람 카리모프(Islam Karimov, 1938~2016)의 영묘가 이곳에 조성되었다.

1970년대의 우즈베키스탄은 소련의 일부인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Uzbek Soviet Socialist Republic)'으로 존재하고 있었다. 15
▲ 사마르칸트 북동쪽에 있는 티무르 제국시대의 저명한 인물과 종교지도자가 묻힌 샤이신다(Shah-i-Zinda) 묘지 주변을 방문객들이 지나가고 있다.

1970년대의 우즈베키스탄은 소련의 일부인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Uzbek Soviet Socialist Republic)'으로 존재하고 있었다. 17
▲ 사마르칸트의 주택가에서 전통악기를 연주하는 4명의 남성들을 주민들이 나와 구경하고 있다. 남성들이 악기를 연주하는 이유는 자신의 집안 혹은 지인의 결혼식이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최대한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기 위함이다.

1970년대의 우즈베키스탄은 소련의 일부인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Uzbek Soviet Socialist Republic)'으로 존재하고 있었다. 19
▲ 사마르칸트의 수예 공장에서 여성들이 모여 전통모자에 금색 수를 놓고 있는 모습.

1970년대의 우즈베키스탄은 소련의 일부인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Uzbek Soviet Socialist Republic)'으로 존재하고 있었다. 21
▲ 사마르칸트의 원단공장에서 여성노동자들이 축제에 사용할 의상을 봉제하고 있다.

1970년대의 우즈베키스탄은 소련의 일부인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Uzbek Soviet Socialist Republic)'으로 존재하고 있었다. 23
▲ 사마르칸트 시장 내의 과일가게. 판매대에는 대부분 사과와 포도가 놓여있다.

1970년대의 우즈베키스탄은 소련의 일부인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Uzbek Soviet Socialist Republic)'으로 존재하고 있었다. 25
▲ 사마르칸트의 과일매장을 방문한 여성이 포도를 살펴보고 있다. 중앙아시아에서 볼 수 있는 일자눈썹 화장이 눈에 띈다. (관련 글: 타지키스탄 전통미인의 조건 ‘일자 눈썹’)

1970년대의 우즈베키스탄은 소련의 일부인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Uzbek Soviet Socialist Republic)'으로 존재하고 있었다. 27
▲ 시장을 방문한 여성이 노점상 노인이 파는 사과를 살펴보고 있다.

1970년대의 우즈베키스탄은 소련의 일부인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Uzbek Soviet Socialist Republic)'으로 존재하고 있었다. 29
▲ 사마르칸트 시장 야외에서 수박을 판매하는 모습.

1970년대의 우즈베키스탄은 소련의 일부인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Uzbek Soviet Socialist Republic)'으로 존재하고 있었다. 31
▲ 사마르칸트 시장의 입구에서 칼을 갈아주는 기술자.

1970년대의 우즈베키스탄은 소련의 일부인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Uzbek Soviet Socialist Republic)'으로 존재하고 있었다. 33
▲ 사마르칸트 근교 국영농장에 설치된 목화 수확기계.

 

과거 우즈베키스탄은 목화 수확시기에 정부가 주도하는 체계적인 강제노동을 시행하는 것으로 악명이 높아서 최근까지도 국제노동기구(ILO)의 지속적인 감시를 받아왔다.

1970년대의 우즈베키스탄은 소련의 일부인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Uzbek Soviet Socialist Republic)'으로 존재하고 있었다. 35
▲ 목화 수확을 마친 노동자들이 난(빵)과 함께 차와 과일을 먹으며 휴식을 취하고 있다.

1970년대의 우즈베키스탄은 소련의 일부인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Uzbek Soviet Socialist Republic)'으로 존재하고 있었다. 37
▲ 사마르칸트 인근 목화농장의 들판에 수확된 면화를 쌓아놓은 모습.

 

2022년 현재 우즈베키스탄은 세계 5위 면화 생산국으로, 과거 악명 높았던 강제노동의 근절을 인정받아 수출제한이 해제되면서 관련산업이 급속도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