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의 생필품, 도롱이와 청약립

아래 만화는 일제시대 조선금융조합연합회(朝鮮金融組合聯合會)에서 출판한 「家庭の友 12호」에 실린 것으로 내용 자체는 크게 재미가 없지만 눈에 띄는 생필품이 있다.

 

바로 ‘도롱이’라는 것으로 오늘날 비옷(우의)의 역할을 한 것이다. 도롱이는 발수성이 있는 볏짚을 두껍게 엮어 물이 내부로 흡수되지 않았고 코트처럼 걸칠 수 있게 만들어져 빗속에서도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었다.

 

바로 '도롱이'라는 것으로 오늘날 비옷(우의)의 역할을 한 것이다. 도롱이는 발수성이 있는 볏짚을 두껍게 엮어 물이 내부로 흡수되지 않았고 코트처럼 걸칠 수 있게 만들어져 빗속에서도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었다. 1
▲ 도롱이를 갖춰입은 모습

 

꾀동이와 도적놈(이승철, 李承喆)


바로 '도롱이'라는 것으로 오늘날 비옷(우의)의 역할을 한 것이다. 도롱이는 발수성이 있는 볏짚을 두껍게 엮어 물이 내부로 흡수되지 않았고 코트처럼 걸칠 수 있게 만들어져 빗속에서도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었다. 3
• 도둑: “돈과 물건을 모두 내놔라”
• 꾀동이: “아이구 도적놈이로구나. 오냐 좋은 도리가 있다!”

 

바로 '도롱이'라는 것으로 오늘날 비옷(우의)의 역할을 한 것이다. 도롱이는 발수성이 있는 볏짚을 두껍게 엮어 물이 내부로 흡수되지 않았고 코트처럼 걸칠 수 있게 만들어져 빗속에서도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었다. 5
• 꾀동이: “이놈의 도적놈을 경을 쳐놔야지. 우선 도랭이를 갖다가..”

 

바로 '도롱이'라는 것으로 오늘날 비옷(우의)의 역할을 한 것이다. 도롱이는 발수성이 있는 볏짚을 두껍게 엮어 물이 내부로 흡수되지 않았고 코트처럼 걸칠 수 있게 만들어져 빗속에서도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었다. 7
• 꾀동이: “그다음은 돼지(돼지) 우리에서 도야지 두 마리를.”

 

바로 '도롱이'라는 것으로 오늘날 비옷(우의)의 역할을 한 것이다. 도롱이는 발수성이 있는 볏짚을 두껍게 엮어 물이 내부로 흡수되지 않았고 코트처럼 걸칠 수 있게 만들어져 빗속에서도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었다. 9
• 도둑: “이만치 생겼으면 한밑천 톡톡하구나. 인제는 가야지”

 

바로 '도롱이'라는 것으로 오늘날 비옷(우의)의 역할을 한 것이다. 도롱이는 발수성이 있는 볏짚을 두껍게 엮어 물이 내부로 흡수되지 않았고 코트처럼 걸칠 수 있게 만들어져 빗속에서도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었다. 11
• 도둑: “아이구머니! 사람 살려 주..!! 아 산돼지(멧돼지)”

 

바로 '도롱이'라는 것으로 오늘날 비옷(우의)의 역할을 한 것이다. 도롱이는 발수성이 있는 볏짚을 두껍게 엮어 물이 내부로 흡수되지 않았고 코트처럼 걸칠 수 있게 만들어져 빗속에서도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었다. 13
• 아버지: “하하하하 통쾌! 도적놈이 그만 까무러쳤구나.”
• 꾀동이: “도야지에게 도랭이를 이렇게 입혔었지요 헤헤”

 

가정의 생필품, 청약립과 도롱이

 

위 만화 속에서는 ‘도랭이’라고 표기되어있는데 도롱이는 각 지방의 사투리로 달리 불려졌다.

 

 각지방 도롱이 명칭

도롱이는 도랭이(창녕 영산)·우장(김해 생림, 진양 대곡, 양산 동면, 울주 상복, 동래 기장)·도리(거창 위천)·두랭이(충북 봉양)·둥구지(전남 영광)·느역(함경)·둥구리·도롱옷·드렁이·도링이·되랭이·되롱이 등의 방언으로 불린다. 옛말로는 되롱·누역이라고 한다.

지역에 따라 부르는 용어가 상당히 많고, 모두 다른 것은 그만큼 널리 사용되고 있었다는 것을 증명해 준다. 제주도에서는 잡세기·도롱이·괭이·우장 등으로 부르나, 도롱이로 통용되고 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바로 '도롱이'라는 것으로 오늘날 비옷(우의)의 역할을 한 것이다. 도롱이는 발수성이 있는 볏짚을 두껍게 엮어 물이 내부로 흡수되지 않았고 코트처럼 걸칠 수 있게 만들어져 빗속에서도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었다. 15
▲ 도롱이 방수테스트. KBS 역사저널 그날(79회)


옛 속요에는 ‘청약립 녹사의(靑箬笠綠簑衣)’라는 어구가 종종 등장한다. 청약립은 ‘푸른 댓잎(대나무 잎)을 엮어 만든 갓’을 말하고 녹사의는 ‘도롱이’를 의미한다. 댓잎 갓과 도롱이는 과거 비가 올 때 입는 우의 세트였던 것이다. 만화에서도 갓과 도롱이가 함께 걸려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오늘날에는 간편한 비닐 코트와 우산으로 대체되어 사극이나 연극이 아니면 농가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민속품이 되었지만 일제시대까지만 해도 도롱이는 가정의 필수품으로 만화에도 자연스럽게 등장하는 물건이었다.


Reference:
• 家庭の友. 꾀동이와 도적놈 (1938.07.01)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