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5년, 수도관이 터지자 빨래터로 변한 서울거리

현재 한국은 상수도 보급률이 99.3%(환경부 2019년 기준)에 이르며 집집마다 깨끗한 물이 안 나오는 곳을 찾기가 힘든 국가다.

 

가끔 다큐멘터리에서 아프리카 빈국의 사람들이 생활용수를 긷기 위해 먼 거리를 걷는 장면을 볼 수 있는데, 아래의 기사 속 풍경을 보면 한국 역시 6~70년 전에는 깨끗한 물에 대한 접근성이 좋지 않았음을 짐작할 수 있다.

 

– 전차로(電車路)에 빨래터
– 터진 수도관을 그대로 방치

 

전차와 버스가 오고 가는 수도 서울의 대로 한복판에 때아닌 『빨래터』 가 벌어져 달리는 차량의 경적도 들은 체 만 체 아낙네들이 비누거품을 뿜어가며 빨래 주물르기에 여념이 없다.

 

여기는 시내 서대문구 신문로 서울고등학교 바로 앞 전차 길목인데 수일 전 지하의 수도 파이프가 터지자 토관 사이로 맑은 옥수가 콸콸 쏟아져 나오기 시작하여 이내 아스팔트 길 위에 아담한 시내를 이루어 준 것이다.

 

처음에는 오고 가는 아이들이 발목이나 축일뿐, 시 수도과에서도 아는지 모르는지 소식이 없더니 어제 21일부터는 약빠른 인근 계집애들 한두 명이 빨랫감을 들고 나와 쏟아지는 청수에 헹구기 시작하였다. 이것을 보자 물기근에 허덕이던 인근 주민들도 연이어 빨랫감을 한 광주리씩 이고 『특설·빨래터』 로 너도나도 앞을 다투어 연달아 모여들고 있다. 【동아일보 1955.07.22】


1955년 7월, 서울고등학교 앞의 전차길 수도 파이프가 터져 개천이 되는 상황이 발생했다. 여기까지는 요즘도 흔하지는 않지만 일어날 수 있는 상황.

 

그런데 며칠이 지나도 계속 물이 흐르자 동네 아낙네들이 그곳에서 자리를 잡고 빨래를 하기 시작한 것. 며칠씩이나 시 당국에서 고칠 생각을 하지 않고 있는 것도 지금으로써는 상상하기 힘든 일이고, 도시 주민들이 아스팔트 대로에서 빨래를 하는 것도 황당한 풍경이다.

 

전차와 버스가 오고 가는 수도 서울의 대로 한복판에 때아닌 『빨래터』 가 벌어져 달리는 차량의 경적도 들은 체 만 체 아낙네들이 비누거품을 뿜어가며 빨래 주물르기에 여념이 없다. 1
▲ 파이프 손상으로 생겨난 물웅덩이에서 빨래하는 부녀자들.


하지만 당시는 수도가 나오지 않는 집은 빨래를 하기 위해 우물가를 찾아야 했고, 그것도 없으면 한강변이나 지천까지 나가야 하는 시대였다.

 

전차와 버스가 오고 가는 수도 서울의 대로 한복판에 때아닌 『빨래터』 가 벌어져 달리는 차량의 경적도 들은 체 만 체 아낙네들이 비누거품을 뿜어가며 빨래 주물르기에 여념이 없다. 3
▲ 1954~1956년, 한강변의 빨래터 【사진: John Selwyn Cornes】

 

주부들에게는 ‘빨래’ 하나만으로도 하루해가 훌쩍 넘어가는 주요 일과였던 때에 도심에 생겨난 ‘맑은’물은 체면 따위를 넘어서는 유혹이었을 것이다. 이 수도관 파열 기사를 통해 상수도와 세탁기가 현대 한국인들에게 얼마나 많은 여가시간을 안겨주었는지도 일깨워주고 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