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영환 집터(조계사)에 얽힌 역사

서울 종로구 견지동 27-2.

 

이곳에는 조계사와 우정총국이 위치해 있고, 그 앞을 지나는 우정국로에는 ‘민영환 집터’라는 표시석이 세워져 있다.

 

이곳에는 조계사와 우정총국이 위치해 있고, 그 앞을 지나는 우정국로에는 '민영환 집터’라는 표시석이 세워져 있다. 1
▲ 조계사 앞 우정국로 ‘민영환 집터’ 표시석


1905년 11월 17일, 일제와 을사조약을 체결한 얼마 후인 11월 30일에 자결한 충정공 민영환(閔泳煥, 1861~1905)이 살던 큰 기와집이 바로 현재의 조계사 경내에 있었다.

 

당시 민영환은 자택이 아닌 의관(醫官) 이완식(李完植)의 집(현 인사동 하나빌딩)에서 죽음을 택하였다. 서거 이후 그의 유품이었던 피 묻은 옷과 칼을 자택의 뒷방에 보관하였는데, 이듬해에 그 방의 마루를 뚫고 대나무(血竹, 혈죽)가 자라나 화제가 되기도 했다.

 

이곳에는 조계사와 우정총국이 위치해 있고, 그 앞을 지나는 우정국로에는 '민영환 집터’라는 표시석이 세워져 있다. 3
▲ 혈죽의 당시 모습과 민영환의 부인 박수영 여사가 보관해 온 현재의 모습 ⓒ고려대박물관

 

그렇다면 이 터가 민영환의 집이 되기 전에는 누구의 소유였을까.

 

이전의 집주인은 조선 23대 왕인 순조(純祖)의 장인이었던 영안부원군 김조순(永安府院君 金祖淳, 1765~1832)이었다.

 

조선의 실권을 잡고 세도정치를 하던 그의 시대에 이 저택에는 평교자(平轎子), 사인교(四人轎)등의 가마가 끊이지 않았고, 팔도에서 들어온 산더미 같은 봉물(封物)들이 매일 들락거렸다.

 

이곳에는 조계사와 우정총국이 위치해 있고, 그 앞을 지나는 우정국로에는 '민영환 집터’라는 표시석이 세워져 있다. 5
▲ 김조순 초상화


하늘 높은 줄 모르던 안동 김씨의 시대가 끝나고 고종(高宗)이 세자 책봉을 한 이후에는 민씨의 시대가 시작되며 이 저택도 좋은 시절을 마감할 것 같았으나, 명성황후 민씨의 먼 친척인 민영환이 이곳을 차지하면서 번화의 시대를 이어갔다.

이곳에는 조계사와 우정총국이 위치해 있고, 그 앞을 지나는 우정국로에는 '민영환 집터’라는 표시석이 세워져 있다. 7
▲ 민영환 집터 위치


하지만 그 번영의 시대도 민영환의 죽음으로 종말을 고했고, 마루를 뚫고 올라온 혈죽을 보기 위해 전국 곳곳에서 엄청난 인파가 모여든 것이 마지막이었다.

 

주인을 잃은 이 저택은 상업은행 두취(頭取, 은행장)였던 조진태(趙鎭泰, 1853~1933)가 잠깐 소유하기도 했으나 이후에는 조선식산은행에 넘어가며 비워지게 되었다. 거주하는 사람이 없다 보니 1930년대에 들어서며 이곳은 폐가처럼 변해갔다.

 

이곳에는 조계사와 우정총국이 위치해 있고, 그 앞을 지나는 우정국로에는 '민영환 집터’라는 표시석이 세워져 있다. 9
▲ 1930년대 초의 모습


권력자들의 화려한 가마와 자동차 대신 도심 주변을 떠도는 걸인과 빈민들이 이곳을 찾아왔으며, 화려한 장식물들로 가득했었을 내부는 안채와 사랑채 할 것 없이 봉지쌀(쌀자루)과 땔감으로 쓸 나무들이 여기저기 가득 쌓여있는 빈민굴로 전락해 있었다.

 

이후 1938년 10월에는 태고사(太古寺, 1955년 조계사로 개칭)를 준공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이곳에는 조계사와 우정총국이 위치해 있고, 그 앞을 지나는 우정국로에는 '민영환 집터’라는 표시석이 세워져 있다. 11
▲ 현재의 조계사 경내


권력의 정점에서 빈민굴을 거쳐 현재는 불교 사찰이 되었으니 용도는 달라져왔지만 어쨌든 이곳은 수백 년간 수많은 사람들이 드나드는 풍경이 계속 유지되고 있는 셈이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