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단일백인(藝壇一百人) [4] 화홍(花紅, 기생)

아랫다방골(下茶洞) 십칠오통호(17통 5호) 골목을 들어서면 막다른 집에 유리 장명등(長明燈)이 처마 높이 달려있는데, 유리조각에는 이경백(李景伯)이라 대서특필되어있다.

 

그 문으로 쑥 들어서면서 「이리 오너라」하는 소리에 삼척동자가 나오며 「어디서 오셨습니까?」 「화홍이 있네?」 으레 처음에는 없다고 하는 것이 전례인데, 손님의 목소리를 분간하여 볼 가치가 있는 사람이라면 뜰 아랫방으로부터 십이승(十二升) 목소리로 「들어옵시라고해라」 하는 명령이 내려져야 손님을 들이는 법이었다.

 

사람을 보면 눈웃음부터 치는 것은 박화홍이의 특색이라 하겠고, 계집사람 치고는 작은 사람은 아니요. 서글서글하여 사람을 대하여 교제하는 방법은 제일이라.

 

15세부터 고향 진주에서 기생 노릇을 시작하여 16세에 경성으로 올라왔고, 금년이 21세니 6~7년 기생의 이력은 많았을 듯.

 

그 문으로 쑥 들어서면서 「이리 오너라」하는 소리에 삼척동자가 나오며 「어디서 오셨습니까?」 「화홍이 있네?」 으레 처음에는 없다고 하는 것이 전례인데, 손님의 목소리를 분간하여 볼 가치가 있는 사람이라면 뜰 아랫방으로부터 십이승(十二升) 목소리로 「들어옵시라고해라」 하는 명령이 내려져야 손님을 들이는 법이었다. 1
▲ 화홍(花紅)


“남의 기생 노릇 한 까닭은 왜 물으십니까? 망측해라. 하하하”

 

“정 물으시니 말씀이올시다마는 처음에는 고향에서 기생 노릇하다가 어떤 낭군이 데려가서 살았는데 그 남편이 도무지 내가 싫다고 해서 소박을 맞았지요. 음식 싫은 것은 내다 버리지만 사람 싫다는 것을 어찌합니까? 할 수 없이 헤어졌지요.”

 

(律) 말입니까? 아무것도 모르고 양금 한 가지밖에 모릅니다.”

 

“소리요? 소리는 육자배기, 잡가, 시조 그런 것들이지요.”

 

“남편이 싫으면 평생 기생질만 할 터이냐고요? 이후라도 마음에 맞는 사나이가 있으면 평생을 의탁하여 볼까 하지만…”

 

스스로 떨어지는 두어 방울 눈물은 삼팔 치마에 꽃송이를 그리었다.

【每日申報. 藝壇一百人(四).화홍 1914.01.31.】

– 아랫다방골(下茶洞): 하다동. 현재의 서울시 중구 다동.
– 통호(統戶): 통(統)과 호(戶)를 아울러 이르는 말.
– 장명등(長明燈): 대문 밖이나 처마 끝에 달아 두고 밤이면 켜는 유리등.
– 십이승(十二升): 가는 올로 매우 곱게 짠 모시. 고운 목소리에 비유.
– 률(律): 율. 음악을 뜻한다.
– 삼팔치마: 올이 고운 명주인 삼팔주(三八紬)로 만든 치마.

■ 매일신보에서는 100명의 예술인을 대상으로 기사를 연재했는데, 이 기사의 제목을 「예단일백인(藝檀一百人)」이라 하였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