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earthwow.org

AI의 도움 없이 100% 인간이 쓴 콘텐츠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어스리포트
  • 타임캡슐
    • 역사적인 사진의 뒷이야기
    • 사라진 장소와 건물
    • 채색된 역사
    • 예단일백인(藝壇一百人)
  • 뉴스
  • 리뷰
  • 스크랩

[태그:] 사건

"나는 월요일이 싫어서 사람들에게 총을 쐈다. 총기난사는 하루를 활기차게 만든다." 1

1979년, 체포된 클리블랜드 초등학교 총기난사범 ‘브렌다 앤 스펜서(Brenda Ann Spencer)’

2024-12-04
그런데 어느새 법정의 주제는 그녀가 입고 있는 바지로 변해있었다. 당시 법정에서는 여성들이 바지를 입는 것이 금지되어 있었던 것이다. 2

1938년, 바지를 입었다는 이유로 감옥에 갇힌 여성

2024-10-14
'자유로운 유튜버'를 고용한 여행사 사장이 예상과는 달리 직원으로서의 근무태도가 자신의 마음에 들지 않았고, 이를 참다참다 훈계하자 관계가 틀어진 것. 이 과정에서 폭언이 있었음은 사장도 인정하는데, 문제는 큰 돈을 들여 스카우트한 것이기에 자영업자로서 손해가 막심한 상황이라는 점을 분노의 이유로 이해할 여지도 있다. 3

여행 유튜버 ‘쫑쫑걸음’ 폭행사태 요약

2024-09-30
■ 가장 위험한 주 4

미국에서 가장 범죄가 많은 주

2024-09-08
<p>
- 고흐의 자화상에 합성된 귀 날아간 트럼프 - 역사상 가장 유명한 귀1위 : 트럼프 귀2위 : 고흐(화가) 귀3위 : 홀리필드(복싱) 귀 - 민주당 진영의 작전 실패. (사진은 오사마 빈라덴 사살 사건 당시) - 프랑스 화가 외젠 들라크루아(Eugène Delacroix)의 작품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La Liberté guidant le peuple) 그림과의 비교. 트럼프의 사진은 에반 부치(Evan Vucci)가 촬영하였다. - 총알을 가볍게 피하는 매트릭스 트럼프 - 트럼프가 총알과 싸우는 동안, 계단과 싸우는 바이든</p> 5

도널드 트럼프 피격 사건으로 만들어진 밈

2024-07-15
현재와 달리 20세기 초중반까지 농경사회였던 한국은 근처의 야산에서 먹이를 찾아 민가로 내려오는 맹수로부터의 피해가 적지 않았다. 호환으로 알려진 호랑이에 의한 인명피해가 가장 유명하지만, 굶주린 야생 늑대의 은밀한 습격도 종종 발생했다. 6

늑대로 인한 인명피해가 막심했던 20세기 초중반

2023-10-26

글 페이지 매김

1 2 3 … 6 Older posts →

카테고리

  • 어스리포트
  • 타임캡슐
    • 역사적인 사진의 뒷이야기
    • 사라진 장소와 건물
    • 채색된 역사
    • 예단일백인(藝壇一百人)
  • 뉴스
  • 리뷰
  • 스크랩

인기 글

  • 1922년, 백정과 놀았다는 이유로 영업정지 당한 기생들
  • 1917년, 러시아 2월 혁명으로 로마노프 왕조가 붕괴되고 '최후의 차르' 니콜라이 2세가 폐위되며 러시아제국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71917년, 볼셰비키의 포격으로 파괴된 모스크바 크렘린
  • <p>
▲ 수원 화성행궁(水原 華城行宮)의 정문 신풍루(新豊樓). ▲ 신풍루(新豊樓)의 현재 모습. ▲ 수원화성 북수문(北水門)의 모습.</p> <p>화성의 북쪽 성벽이 수원천과 만나는 곳에 설치된 수문으로 '화홍문(華虹門)'이라는 별칭으로 더 유명하다. 1795년 창건되었다가 유실과 재건을 반복하였고, 지금의 모습은 1932년에 복원된 것으로 위 사진 속의 화홍문은 유실되기 전의 모습이다. ▲ 화홍문(華虹門) 현재 모습 ⓒ 수원시청 ▲ 화홍문(華虹門) 왼쪽으로 보이는 팔달산 정상의 서장대(西將臺). 군사를 지휘하거나 적의 동태를 감시하는 군사시설이다. ▲ 서장대(西將臺)의 현재 모습 ⓒ 수원시청 ▲ 수원 권업모범장(勸業模範場)의 모습. 을사조약 이후 일제의 통감부가 농업기술의 지도와 시험을 하기 위해 1906년에 설치한 기관이다. ▲ 대구시장의 인파. ▲ 대구 우시장(牛市場)의 모습. 20세기초부터 대구는 소를 사고파는 시장으로 유명했다.</p> <p>당시 위치는 도시철도 2호선 내당역(두류동) 일대로 추정되며, 2011년 대구 달서구청은 관광자원 개발을 위해 이 일대의 전통시장에 '대구예전우시장'이라는 명칭을 부여했다. ▲ 경주 첨성대(瞻星臺). 현재와 달리 보존을 하기 위한 장치도 없고 접근이 자유롭다. ▲ 현재의 첨성대 주변. ▲ 경주 불국사(佛國寺). 석조구조물들이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은 모습이다. ▲ 경주 불국사내의 다보탑(국보 제20호)과 석가탑(국보 제21호). 절 경내에 잡초가 많고 정리되지 않은 모습이다. ▲ 석가탑과 다보탑의 현재 모습. ▲ 경주 불국사 대웅전(보물 제1744호). ▲ 경주 태종무열왕릉비(太宗武烈王陵碑, 국보 제25호).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모습이지만 현재는 비각을 만들어 비를 보호하고 있다. ▲ 비각으로 보호되고 있는 태종무열왕릉비 ⓒ 경주시청 ▲ 보물 제147호 밀양 영남루(嶺南樓)와 밀양강 풍경. ▲ 같은 위치의 영남루 현재 모습. ▲ 밀양 삼랑진의 작원관(鵲院關)을 지나가는 경부선 열차.</p> <p>작원관은 임진왜란 당시 왜적과 결사항전한 전적지로, 일제시대에 경부선 밀양~삼랑진 노선이 개통되면서 원래자리에서 강변으로 이전되었다. 1936년 병자년 대홍수 당시 유실되면서 터만 남았는데, 1995년에 작원관의 성문이 복원되었다. ▲ 복원된 작원관지 성문 ⓒ 한국문화정보원 ▲ 부산어시장(釜山魚市場)의 어획물들과 상인들. 부산어시장은 일본에 대한 수산물 수출과 조선에서의 수산물 유통과 매매를 위해 부산수산회사(釜山水産會社)가 1903년 개장한 곳이다.</p> <p>부산수산회사는 1930년부터 일제가 패망할 때까지 근대 부산경제계의 재벌이었던 카시이 겐타로(香椎源太郎)가 사장으로 취임해 운영하였다. (관련 글: 부산 대청동, 카시이 겐타로(香椎源太郞) 저택) ▲ 부산항과 용두산 일대.</p> 91900년대, 구한말(대한제국)의 모습 ④

태그

2차대전 625 1800s 1900s 1910s 1914 1920 1920s 1930s 1940s 1950s 1960s 1970s 1980s 2020s 2021 경성 공산주의 기생 나치 대중을 속인 사진 독일 러시아 미국 미국사회를 충격에 빠뜨렸던 여교사 미인대회 북한 사건 사진 서울 세계에서 가장 소련 여배우 영국 예단일백인 올림픽 왕족 이란 일본 일제시대 자동차 조선 프랑스 한국 한국전쟁
썸네일
유용한 사이트 모음

Copyright © 2025 earthwow.org

Design by ThemesDNA.com

이 페이지의 콘텐츠를 복사할 수 없습니다

이 사이트가 작동하려면 Javascript가 필요합니다. 브라우저 설정에서 해당 기능을 활성화하고 이 페이지를 새로 고침하세요.

쿠키 및 개인정보 처리 안내

보다 나은 웹사이트 이용을 위해 이 사이트는 쿠키와 유사 기술을 사용합니다.
쿠키는 서비스 개선, 맞춤형 콘텐츠 제공, 트래픽 분석 등에 활용됩니다.
언제든 쿠키 설정을 변경하실 수 있으며, 일부 쿠키를 거부하셔도 대부분의 서비스 이용에는 제한이 없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쿠키 정책을 참고해 주세요.

필수 쿠키 Always active
사이트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데 꼭 필요한 쿠키입니다.
Preferences
The technical storage or access is necessary for the legitimate purpose of storing preferences that are not requested by the subscriber or user.
통계 쿠키
The technical storage or access that is used exclusively for statistical purposes. 방문자 수, 이용 패턴 등 사이트 개선을 위한 익명 통계 분석 목적으로만 사용됩니다.
마케팅 쿠키
관심사에 맞춘 맞춤형 콘텐츠와 광고 제공을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Manage options Manage services Manage {vendor_count} vendors Read more about these purposes
View preferences
{title} {title} {title}